교육과정안내
문화콘텐츠교육전공은 현직 및 예비 교사, 문화콘텐츠 관련 분야 종사자, 문화콘텐츠교육에 관심 있는 분을 대상으로 문화콘텐츠 교육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과 소양, 수행 능력을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탐구하고 함양함으로써 문화콘텐츠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둔다. 현직 교사 및 문화콘텐츠 관련 분야 종사자는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교육에 대한 최신 이론을 연구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예비 교사는 문화콘텐츠교육 관련 학부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교육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문화콘텐츠교육은 최신 학문의 경향을 반영하는 분야로서, 교육 현장에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하여 교육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거나, 문화콘텐츠 자체를 교육하는 방향을 모두 설정한다. 이를 통해 현재 다수의 초등, 중등, 고등, 사회(평생) 교육에서 중요한 교육적, 실천적 의제로 인식되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실무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문화콘텐츠교육은 스토리콘텐츠, 이미지콘텐츠, 사운드콘텐츠 등의 기초콘텐츠는 물론 응용(융합)콘텐츠, 종합콘텐츠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문화콘텐츠교육을 통해 현직 교사와 관련 분야 종사자에게 학문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재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각시·도 교육청, 문화재단,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 분야 협력을 통해 문화콘텐츠 교육의 교육적, 사회적 의미와 실천을 확대할 수 있다.
교육과정
연번 |
교과목명 |
시간 |
학점 |
|
---|---|---|---|---|
국문 |
영문 |
|||
1 |
문화콘텐츠개론 |
Introduction to Cultural Contents |
2 |
2 |
2 |
문화콘텐츠 기획론 |
Cultural Contents Planning Studies |
2 |
2 |
3 |
문화콘텐츠 교육론 |
Cultural Contents Education Studies |
2 |
2 |
4 |
문화콘텐츠 비평론 |
Cultural Contents Criticism Studies |
2 |
2 |
5 |
문화콘텐츠 산업론 |
Cultural Contents Industry Studies |
2 |
2 |
6 |
문화콘텐츠 정책론 |
Cultural Contents Policy Studies |
2 |
2 |
7 |
스토리텔링 교육론 |
Studies of Storytelling Education |
2 |
2 |
8 |
사운드 교육론 |
Studies of Sound Education |
2 |
2 |
9 |
회화·사진·영상 교육론 |
Studies of Painting, Photography and Video Education |
2 |
2 |
10 |
출판콘텐츠 기획 실습과 교육 |
Publication Contents Planning, Practice and Education |
2 |
2 |
11 |
스토리콘텐츠 기획 실습과 교육 |
Story Contents Planning, Practice and Education |
2 |
2 |
12 |
오디오콘텐츠 기획 실습과 교육 |
Audio Contents Planning, Practice and Education |
2 |
2 |
13 |
이미지콘텐츠 기획 실습과 교육 |
Image Contents Planning, Practice and Education |
2 |
2 |
14 |
영상콘텐츠 기획 실습과 교육 |
Video Contents Planning, Practice and Education |
2 |
2 |
15 |
게임콘텐츠 분석 실습과 교육 |
Game Contents Analysis, Practice and Education |
2 |
2 |
16 |
공연콘텐츠 탐방 분석과 교육 |
Performance Contents Experience, Analysis and Education |
2 |
2 |
17 |
전시콘텐츠 탐방 분석과 교육 |
Exhibition Contents Experience, Analysis and Education |
2 |
2 |
18 |
축제콘텐츠 탐방 분석과 교육 |
Festival Contents Experience, Analysis and Education |
2 |
2 |
19 |
테마파크 탐방 분석과 교육 |
Theme Park Experience, Analysis and Education |
2 |
2 |
20 |
웹소설과 웹툰 교육론 |
Studies of Webnovel and Webtoon Education |
2 |
2 |
21 |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 |
Cultural Identity and Storytelling |
2 |
2 |
22 |
한국문화 교육론 |
Principl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
2 |
2 |
23 |
한국사회 다문화 현상의 이해 |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
2 |
2 |
24 |
한류 연구 |
Studies of Korea Wave |
2 |
2 |
25 |
아시아 사회역사문화의 이해 |
Introduction to Asian Society, History & Culture |
2 |
2 |
26 |
다문화교육콘텐츠 기획 |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
2 |
2 |
27 |
다문화 시민교육론 |
Principle of Multi-cultural Civil Education |
2 |
2 |
28 |
사회통합정책론 |
Principle of Social Integration |
2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