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안내(전공 목적)
지금까지 혁신교육에 대한 학습이 그 동안의 실천을 체계화하는 수준에 머물러 왔다면, 앞으로는 혁신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이론적·철학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임
혁신교육의 확산을 위해서 현장 교사 및 행정가들에게 학교·가정·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교육생태적 접근을 경험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학습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전공이 지향하는 바는, 혁신교육의 실천적 흐름을 이해하고 미래지향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생태주의 교육, 복잡성 과학과 교육, 사회적 자본, 교육거버넌스 등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최신 이론과 철학적 담론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며, 교육 리더십 역량 강화와 현장 중심적인 혁신교육 실천역량의 배양을 목적으로 함
교육과정(과목명)
- 혁신미래교육 정책 (Trend & Policy for Educational Change)
- 혁신교육 리더십(Educational Leadership for School Innovation)
- 교육혁신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Cooperative Governance for Educational Change)
- 교육공동체를 위한 철학적 기초(A Theoretical Approach for Local Community-based Learning)
- 복잡성교육과 생태주의 교육론(The ecological Approach of the Complexity Education)
- 교육생태계론(Ecological Pedagogy)
- 복잡성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론(Complexity Education in Curriculum)
- 사회적 자본과 교육(Social Capitial and Education)
- 지속가능한 교육론(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마을교육과정의 실제(Curriculum for Community-based Learning)
- 미래사회와 교육 (Education for Future Society)
- 학교혁신 국내외 사례연구(Case Study for School Change)
- 학교혁신 리더십 사례연구(Case Study for Educational Leadership)
- 교육혁신 연구 세미나(Seminar for Educational Change)
- 교육연구방법론(Methodology for Educational Research)